반응형
윈도우의 시작 프로그램에 악성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요. 이런 경우 한번에 시작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어서 소개 드립니다. 스타트 클리너바로 스타트 클리너인데요. 아래 사이트에서 갖아 최신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startcleaner.kilho.net/ 스타트클리너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시작프로그램 폴더, 레지스트리, 작업 스케줄러, 서비스 등의 항목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으며, 실제 삭제 없이 비활성화하여 안startcleaner.kilho.net 다운로드 후 실행하면 간단하게 시작프로그램 리스트가 뜨고 이중에서 사용안함을 누르면 시작 프로그램 리스트에서 사라집니다. 한글로 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한데요. ..
오픈AI에서 서비스하는 챗GPT의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ChatGPT 장애 오픈AI는 이날 자사 웹사이트에 "챗GPT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 가능한 한 빨리 서비스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온라인 접속 중단을 추적하는 웹사이트 다운디텍터에 따르면 미 동부 시간 이날 오후 7시 13분 현재 1만9천403명의 사용자가 챗GPT 서비스 장애의 영향을 받았다고 공개했습니다. 다운디턱터에 따르면 많은 장애가 보고 되었습니다.https://downdetector.com/status/openai/ 최근 챗GPT는 SearchGPT를 출시했습니다. 검색엔진에 GPT 기능을 추가하면서 구글이 장악하는 검색엔진 시장까지 먹겠다는 이야기인데요. 이번 장애로 인하여 신뢰도를 가질 수 있을지..
카카오톡 사용 중에 컴퓨터를 포맷하거나 변경되는 경우 최초 카카오톡을 로그인 하려고 하면 에러메세지가 발생하는데요. 카카오톡 로그인 에러카카오톡에서 비밀번호만으로 카카오계정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 평소와는 다른 환경이라면 계정 도용 등의 위험에서 카카오계정을 보호하기 위해 추가 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즉 피시방이나 외부에서 카카오톡을 로그인 하면 아래와 같이 평소와 다른 로그인이 감지되어 추가 인증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일반적으로 추가 인증 화면에 안내된 내용에 따라 안전하게 인증하고 로그인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1) 카카오톡으로 추가 인증카카오톡으로 발송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직접 시도한 로그인이라면 추가 인증을 진행합니다.만일 내가 요청하지..
맥에서 작업한 파일을 한글로 보내면 한글이 깨져서 들어오는데요. 윈도우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아래처럼 보입니다.한글자소 깨짐 원인이거는 MS와 맥의 한글 규격이 달라서 그런데요. 맥의 경우 NFD 방식을 사용합니다. NFD (Normalize Form D) NFD는 모든 음절을 Canonical Decomposition(정준 분해)하여 한글 자모 코드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방식이다. 즉, 각을 ㄱ + ㅏ + ㄱ 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현대 한글과 옛 한글을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NFC 방식과 비교하여 텍스트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들과 MS 에서는 NFC 를 채택했습니다.NFC (Normalize Form C) NFC는 모든 음절을 Canoni..
KODI에서 리눅스 서버와 연동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이중에서 가장 무난한 sftp로 연동해보겠습니다. SFTP란?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FTP는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보호하며, FTP(File Transfer Protocol)와는 다르게 파일 전송 과정에서 보안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파일 전송 도중에 데이터가 중간에서 가로채이거나 손상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ChatGPT에게 물어보니 먼저 openssh를 설치하고 sftp 전용 계정을 생성하라고 합니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opens..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