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24, SGI에 이어서 웰컴금융그룹에서도 랜섬웨어 해킹이 발생했습니다. 웰컴금융그룹웰컴금융그룹은 2002년 국내 자본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디지털 종합 금융 그룹으로, 웰컴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 중심의 정도경영과 디지털 금융혁신을 통해 국내는 물론 글로벌 리딩 금융그룹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웰컴금융그룹의 주요 자회사는 웰컴저축은행(지분 100%), 웰컴자산운용(100%), 그리고 동남아 지역 자회사의 지분을 관리하는 웰컴캐피탈월드와이드(51%) 등이 있습니다. 대부업체였던 웰컴크레디라인이 지주사 역할을 하며 다수 국내외 자회사들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업체 계열사인 웰릭스에프앤아이대부도 웰컴금융그룹 산하에 있으며, 최근 랜섬웨어 ..
티스토리를 해외에서 접속하게 되면 아래처럼 허용하지 않은 국가에서 로그인이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해외에서 티스토리 사용하기해외 여행중에 티스토리에 로그인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 때에는 본인이 사용하는 계정의 이메일 주소에서 인증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메일로 온 인증번호를 입력해야지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방식을 FDS라고 하는데요. FDS? FDS는 "이상 금융 거래 탐지 시스템" (Fraud Detection System)의 약자로, 전자금융거래에서 발생하는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여 금융사기를 예방하는 시스템입니다. 주로 은행, 카드사, 증권사 등에서 활용되며, 고객의 평소 거래 패턴과 다른 의심스러운 거래를 식별하고 대응합니다.즉 평소에 로..
인터넷에서 파일 다운로드할 때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이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인터넷 프로그램 다운로드시 항상 열기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항상 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설정을 하시면 되는데요. 먼저 엣지나 크롬 브라우저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예: .pdf, xlsx 등) 그리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브라우저 하단 혹은 우측 상단의 다운로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다운로드 목록에서 해당 파일 옆의 "점 3개 메뉴 (⋯)" 클릭 “항상 이 유형의 파일 열기(Always open files of this type)” 선택 이렇게 하면 같은 확장자 형식은 다음부터 다운로드 후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 주의 사항이 옵션은 모든 파일 형식에서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exe, .msi, .ba..
현재 일부 티스토리 스킨을 사용할 때 반응형 이라는 멘트가 보이는데요. 아래처럼 스킨을 쓸때 반응형이라는 글이 보이게 됩니다. 반응형 멘트 숨기기 이 때 임시 방편으로 해당 CSS를 숨기는 방법이 있는데요. 개발자 도구로 살펴보면 반응형이라는 문구가 보이는 것이 revenue_unit_info라는 div인데요.이를 display none으로 설정하면 임시방편으로 숨길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꾸미기 - 스킨편집 - HTML 편집 메뉴에 들어가시구요. 이후 CSS 편집 젤 하단에 아래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광고 문구 가리기 */.revenue_unit_wrap .revenue_unit_info { display: none;} 그러면 해당 div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노출되지 않게 되는데..
ubuntu 시스템에서 구글 드라이브를 마운트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패키지를 설치해야 하는데요. google-drive-ocamlfuse를 설치해야 합니다. google-drive-ocamlfuse 설치깃허브에서 자세한 설치 방법을 확인하셔도 되구요.https://github.com/astrada/google-drive-ocamlfuse GitHub - astrada/google-drive-ocamlfuse: FUSE filesystem over Google DriveFUSE filesystem over Google Drive. Contribute to astrada/google-drive-ocamlfus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
윈도우 재설치 한 다음 아래처럼 SM버스 컨트롤러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가 안됬다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요.이 경우에 해결방법을 안내드립니다. 먼저 가장 간단하게 해결하는방법은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한 방법입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사용하기 윈도우 업데이트 - 고급 옵션 - 선택적 업데이트 메뉴에 가시면 인텔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설치해서 해결이 될 수 있구요. 여기서 해결이 안된다면 개별 AMD 또는 INTEL의 칩셋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개별 칩셋 드라이버 다운로드 받기인텔 계열이라면 인텔 칩셋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해야합니다. 아래 chipset inf를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https://www.intel.co.kr/content/www/kr/ko/down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