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사이트맵과 RSS라는 단어가 있는데요. 사이트맵?말 그대로 사이트 + 맵입니다. 즉 사이트가 어떻게 생겼는지 그 구조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구글 설명에 따르면 사이트맵은 사이트에 있는 페이지, 동영상 및 기타 파일과 그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Google과 같은 검색엔진은 이 파일을 읽고 사이트를 더 효율적으로 크롤링합니다. 즉 이 사이트맵을 통해서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은 사이트의 내용을 파악하고 검색을 편리하게 하도록 사이트를 등록하고, 이제 등록이 되면 검색엔진에서 검색됩니다. 티스토리 주소 뒤에 sitemap.xml을 입력하면 볼 수 있구요. 제 사이트의 경우 아래 주소에서 사이트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remake.tistory.com/s..
윈도우에서 가상 디스크 파일은 VHD인데요.이 용량을 늘리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VHD란?VHD(Virtual Hard Disk)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 형식으로, 실제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능을 가진 가상 디스크 파일입니다. VHD 파일은 단일 파일 내에 전체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파일 및 기타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어 가상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VHD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가상화: Hyper-V와 같은 가상화 플랫폼에서 가상 머신의 스토리지로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여러 운영 체제를 동일한 물리적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백업 및 복구: 전체 시스템을 백업하거나 특정 드라이브의 상태를 저장하는 데 VHD를 사용할 수..
ChatGPT의 새로운 모델인 o1이 공개되었습니다. ChatGPT o1openAI는 지난 9월 17일 ChatGPT o1를 공개하였습니다. 우리는 반응하기 전에 생각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AI 모델 시리즈를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들은 복잡한 작업을 추론하고 과학, 코딩, 수학 분야의 이전 모델보다 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ChatGPT와 API에서 이 시리즈의 첫 번째 모델을 출시합니다. o1 모델은 ChatGPT4보다 논리적 추론 능력이 훨씬 강화된 모델이다. 알고리즘 문제 풀이 플랫폼인 '코드포스'의 문제를 풀어본 결과, 레이팅 1800으로 사용자 93 퍼센트보다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고 합니다. 쉽게 말해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독자는 코딩테스..
윈도우가 갑자기 고장날 상황을 대비해서 PE를 부팅메뉴에 추가할 수 있는데요. 이런 방법을 간단하게 해주는 툴이 있어서 소개 드립니다. WimAddbootMenu 프로그램정말 직관적인 이름인데요. 윈도우 부팅 파일인 wim 파일을 boot메뉴에 추가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의 홈페이지 주소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https://maximer.tistory.com/464 WimAddBootMenu 다운로드현재의 운영체제에 PE 즉 wim파일로 부팅할 수 있도록 부팅메뉴에 추가해주는 툴입니다. BIOS와 UEFI 둘다 지원합니다. 사용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됩니다. 부팅메뉴에 쉽게 PE 부팅 추가하maximer.tistory.com가장 최신 파일은 아래 링크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
최근에 들은 AI 강의가 있었는데요. 바로 ChatGPT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하기 강의였습니다. 데이터 분석데이터 분석은 크게 아래의 6단계로 이뤄지게 되는데요.문제정의데이터 수집 및 지표 계획데이터 탐색 및 전처리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인사이트 도출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예전에는 정말 이 데이터 분석을 위해서 전문가가 하나하나 확인하고 단계별로 처리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ChatGPT가 등장하면서 그러한 단계를 ChatGPT에게 일임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실제로 아래처럼 ChatGPT에게 한줄만 쳐도 전체적으로 답을 알려줍니다. 내가 멀 할지만 명확하게 인지하고 ChatGPT에게 프롬프트만 작성하면 되는데요.실제로 앞서 알아본 데이터 처리 과정을 ChatGPT가 알아서 순서대로 알려줍니다. 정말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