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t's Encrypt 갱신은 항상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갱신 관련 폴더는 /etc/letsencrypt/renewal 에 위치해 있습니다. cd /etc/letsencrypt/renewal sudo nano domain.com.conf ubuntu@second-vv:/etc/letsencrypt/renewal$ sudo nano domain.com.conf 여기에 webroot가 있다. # renew_before_expiry = 30 days version = 1.21.0 archive_dir = /etc/letsencrypt/archive/domain.com cert = /etc/letsencrypt/live/domain.com/cert.pem privkey = /etc/letsencrypt/liv..
아이폰을 사용하다가 지인으로부터 받은 카카오톡 링크를 홈화면에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링크 사파리에서 열기 먼저 카카오톡은 특이하게 링크를 보내면 내부의 인앱에서 열리게 됩니다. 이렇게 카카오 인앱으로 열리면 아이폰 홈에 링크를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링크를 꾹 눌러서 복사하셔서 사파리에 붙여 넣으시거나 아니시면 인앱으로 열린 상황에서 하단의 더보기를 누르고 Safari로 열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진행하셔서, 사파리로 여시면 반은 성공한 것인데요. 하단에 Safari로 열기를 클릭해줍니다. 사파리로 사이트가 열리시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사파리 홈페이지 홈화면에 추가하기 사파리로 홈페이지를 열게되면 하단에 옵션이 보이는데요. 가운데에 있는 공유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오늘은 Crontab 기능을 활용해서 오래된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rontab 오래된 파일 삭제하기 아래와 같은 shell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는데요. find 삭제하고자 하는 폴더 mtime 지난 일자 - name 파일 종류 exec rm -rf {}의 순입니다. 저는 log 파일에 쌓이고 있는 csv확장자를 3일마다 삭제하는 코드입니다. -rf : 삭제 여부를 묻지 않으며 하부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까지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find 명령어 리눅스에서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find 명령어를 사용하는데요. find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으로 파일을 찾을 수도 있고, 다른 옵션등을 조합하여 내용을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find [경로] [옵션] [대상] #!/bin/sh find /h..
Let's Encrypt는 무료 SSL인증서를 발급해 주는데요. 아래 사이트에서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https://letsencrypt.org/ Let's Encrypt letsencrypt.org 무료 SSL 인증서 발급 받기 먼저 certbot 을 설치해야 합니다. certbot과 함께 python3-certbot-nginx를 같이 설치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certbot python3-certbot-nginx 이 후 nginx의 설정을 해야하는데요. 먼저 클라우드에서 80포트를 열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위치의 서버 블록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 인증받고자하는 서버 도메인으로 변경합니다. 여기에서는 예시..
오늘 호스팅케이알의 장애가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호스팅케키알의 DNS를 사용하던 사이트들의 접속이 불가능했는데요. 호스팅케이알에서는 DDoS 공격으로 접속장애라고 밝혔습니다. 당시 서버가 장애가 나면서 DNS를 옮기지 못했는데요. 혹시 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이번에 네임서버를 클라우드 플레어로 옮겨보겠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 네임서버 설정하기 먼저 cloudflare에 접속한다음 website -> add a site를 클릭합니다 본인의 도메인주소를 넣고 add site를 클릭합니다. aaa.com이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그리고 플랜을 설정하는데요. 일단 상용사이트가 아니라면 무료 플랜으로도 충분합니다. free를 선택하고 continue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DNS 설정을 셋팅하게 되는데요. ..
인터넷 서핑을 하다보면 이런 사이트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할 경우가 있는데요. 즉 이쁜 사이트가 보이면 이런 사이트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역시 구글에는 모르는게 없었습니다. 이러한 저의 고민을 해결해주는 좋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Wappalyzer? 웹사이트의 기술 스택을 한눈에 알려주는 사이트 입니다. 간단한 회원가입후에 한달에 50건까지 조회해볼 수 있는데요. 다음을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사이트 뿐만 아니라 크롬 확장 프로그램도 지원하는데요. 아래의 사이트에서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기술 프로파일러라고 설명하고 있네요.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wappalyzer-technology-pro/gp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