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의 서버 상태 확인하기 먼저 포트가 어떤 프로그램을 쓰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netstat 명령어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포트를 확인합니다. netstat -ltup 기본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l 옵션 : netstat에 모든 수신 소켓을 표시한다. -t 옵션 : 모든 TCP 연결을 표시한다. -u 옵션 : 모든 UDP 연결을 표시한다. -p 옵션 : 포트에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데몬의 이름을 표시한다. -n 옵션 : 서비스 이름 대신 port 번호를 표시한다. 이제 여기 같은 경우 10443이 Tomcat에 SSL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신기하게 apache2이외에도 별도의 SSL을 넣어놓은 것인데요. Tomcat SSL 적용하기 기본적으로 Tomcat의 경우 JavaKeyStore 또는 PF..
오늘은 acme.sh를 이용해서 SSL 인증서를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acme.sh를 통해 인증서를 받기 위해서는 cloudflare를 사용해서 API로 DNS값을 자동으로 받아오게 됩니다. 즉 cloudflare의 ZONEID와 Account ID API ID를 알아야 합니다. 먼저 ZONE과 ACCOUNT는 cloudflare 메인 화면 우측 하단에 있습니다. api key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dash.cloudflare.com/profile/api-tokens ZONE.DNS의 EDIT 권한을 준 키를 가지고 있으면 됩니다. CF_key, account_id, Zone_ID를 모두 입력해 줍니다. export CF_Token="sdfsdfsdfljlbj..
Docker를 통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먼저 서버포럼의 달소님의 글인데요. Docker를 통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https://svrforum.com/svr/367643 서버포럼 - Docker를 이용한 워드프레스 쉽게 구축하기.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닷 @qued 님께 알려드리고 저혼자 테스트로 구축하던 docker 이미지와 설정값들을 공유해보고자합니다. 해당 방법과 NPM을 이용하면 Linux에서 워드프레스를 쉽게 구축, 설치할 svrforum.com 이외에 nginx Docker이미지 만드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tempodivalse.tistory.com/37 [Docker] Nginx + PHP-FPM 이미지를 만들..
Ubuntu에서 파이썬 가상환경을 설치하는 것을 따라해보겠습니다. 파이썬 가상환경 설치하기 가장 먼저 할 일은 파이썬과 가상환경 패키지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nodejs 등도 같이 설치해주면 좋은데요. git clone https://github.com/nvm-sh/nvm.git ~/.nvm cd ~/.nvm git switch -c v0.39.3 tags/v0.39.3 bashrc에 위치 등록하고 nano ~/.bashrc export NVM_DIR="$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 [ -s "$NVM_DIR/bash_completion" ] && \. "$NVM_DIR/bash_completion" node..
윈도우10 사용중에 블루스크린으로 DRIVER POWER STATE FAILURE에러가 발생해서 윈도우가 꺼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해결 방법을 구글링해서 찾아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DRIVER POWER STATE FAILUREMS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에러인데요. 윈도우의 드라이버가 잘 못 설치된 경우 발생하는 오류라고 하는데요. 아래 링크에 가시면 버그에 대한 MS 홈페이지의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버그 확인 0x9F DRIVER_POWER_STATE_FAILURE - Windows drivers | Microsoft Learn 버그 확인 0x9F DRIVER_POWER_STATE_FAILURE - Windows drivers이 버그 검사의 값은 0x0000009F. 이 버그 검사는 드라..
오늘은 구글 드라이브와 파이썬을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 중에서 구글 드라이브에서 기초 설정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연동하기 https://console.developers.google.com/projectselector2/apis/enableflow?apiid=drive&authuser=1&supportedpurview=project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 로그인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이동 accounts.google.com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API를 신청합니다. 이 후 프로젝트 만들기를 통해 API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이후 프로젝트 이름을 원하는 것으로 만들어 줍니다. 이 후 구글 드라이브 API를 활성화 합니다. 필요시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