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티스토리 장애로 문제가 많은데요. 오늘은 깃허브를 통해서 블로그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깃허브? 깃허브는 루비 온 레일스로 작성된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 저장소 호스팅을 지원하는 웹 서비스입니다. 깃허브는 영리적인 서비스와 오픈소스를 위한 무상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2009년의 깃 사용자 조사에 따르면 깃허브는 가장 인기있는 깃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깃허브는 가장 큰 무료 호스팅 서비스이고, 원래 코드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사이트지만 이를 활용해서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깃허브 블로그 만들기 깃허브 블로그를 만들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루비와 깃을 설치하여 하는 방법도 있지만 간단하게 Jekyll로 만들어진 블로그를 fork해와서 사용할..
티스토리의 포스팅한 글의 읽는 시간을 표시하는 JS를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사용할 것은 github에 공개된 readingtime.js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포스팅 읽는 시간 알려주는 readingtime.js 먼저 깃허브에서 다운로드 받으신 다음 스킨에 파일 업로드 합니다. 한국 블로거 분이 한글 버전으로 변경해주셨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이후 스킨에 추가하면 되는데요. 파일 업로드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추가하시고 HTML에서 JS 스크립트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HTML칸에서 추가를 해주시구요. 표기될 곳에서도 eta라는 span을 불러와야 합니다. 먼저 이 스킨의 경우 글쓴이의 위치가 나오는 곳이 post-meta인데요. 이곳에 을 추가해 줍니다. 수정 삭제 이후 css도 추가해야 하..
워드프레스를 설치하고 최초 사용하면 아래처럼 사이트 건강화면에 3개 항목이 개선이 필요하다고 뜨는데요. 하나 이상의 필수 모듈을 누락했다는 메시지와 함께, imagick을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고 뜹니다. 이 때는 해당 모듈을 설치하여야 하는데요. imagick 모듈이란? ImageMagick 바이너리 배포판 또는 소스 코드로 설치된 무료 오픈 소스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ImageMagick은 인터넷 통신을 위해 이미지를 변환, 읽기, 쓰기 및 처리할 수 있고, ImageMagick 또한 Android, BSD, Linux, Windows, Mac OSX, iOS 및 기타 여러 플랫폼을 포함한 멀티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imagick 모듈설치 먼저 ubuntu에서 패키지 버전이 최..
오늘은 ubuntu에 워드프레스를 한번 설치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LEMP를 설치한다고 하는데요. LEMP란? 리눅스 플랫폼에 웹 서버로는 Nginx(엔진엑스) PHP DB는 MariaDB를 사용할 것입니다. 이것을 줄여서 LEMP 서버(Linux + (E)Nginx + MariaDB + PHP)라고 부릅니다. Nginx를 ‘엔진엑스’라고 읽어서 E가 들어간다고 합니다.. 리눅스설치는 AWS 등에서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니 해당 방법은 제외하겠습니다. MariaDB 설치하기 먼저 MariaDB를 설치해보고자 합니다.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client 이 후 status를 통해서 버전과 함께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systemctl status 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