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Scode를 사용하다가 영어에서 한글로 변경하거나, 또 강의에서는 주로 영어버전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한글에서 영어로 사용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Ctrl+Shift+P키를 통해서 팔레트를 열어줍니다. 그리고 CDL 또는 Configure Display Language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표시언어를 변경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 한국어를 선택하면 재부팅이 되고 한국어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한국어로 선택하면 프로그램을 재 실행한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재 실행 후에는 한글로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반대로 다시 영어가 필요하다면 동일한 방식으로 한 다음 영어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한글의 경우 표시 언어 구성이라고 적혀져 있는데요. 동일하게 CDL로 치면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헷갈리시지..
백준 사이트는 온라인 코딩 문제 풀이 사이트인데요. 가장 처음 만나게 되는 문제가 1000번 문제입니다. 1000번 문제는 가장 간단한 a,b를 입력받고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힌트를 보면 아래와 같이 되어 있는데요. 이곳에서 input, map, split 함수가 나옵니다. 백준 1000번 문제 풀이 기본적으로 각각의 함수를 알아볼까요? 먼저 우리는 input함수를 통해서 파이썬에서 입력값을 불러올 수 있는데요. a = int(input('숫자를입력해주세요')) b = 10 print(f'입력된 숫자는 {a} 합계는 {a+b}') 정말 간단하게 입력을 받고 출력하는 시스템입니다. 출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2개의 입력을 받아봅니다. a = int(input('1번 숫..
ubuntu에 도커를 설치하려고 할때 ARM64시스템의 경우 에러가 발생하는데요. However the following packages replace it: docker-ce-cli:amd64 E: Package 'docker-ce' has no installation candidate E: Unable to locate package docker-ce-cli E: Unable to locate package containerd.io E: Couldn't find any package by glob 'containerd.io' 먼저 구버전의 docker를 삭제하고 sudo apt remove docker docker-engine docker.io containerd runc 이 후에 repository..
ubuntu에서 업데이트 명령어 중 sudo apt update && sudo apt -y upgrade & sudo apt install -y nano ubuntu 명령어로 업데이트 중 에러 발생하면 조치할 방법 아래와 같이 계속 기다려도 99%에서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요. 이 때 키보드로 Ctrl+C로 강제 종료하면 아래처럼 Stop된 상태라고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아래 명령어로 캐시된 명령어를 모두 삭제해 줍니다. sudo rm /var/lib/apt/lists/lock sudo rm /var/cache/apt/archives/lock sudo rm /var/lib/dpkg/lock* 그리고 백그라운드에 있는 명령어를 다시 bg로 확인한 다음 fg 1을 통해서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시면..
목차 개요 윈도우 10 파일 확장자 변경하는방법 기타 개요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파일 확장자를 변경해야할 때가 있는데요. 윈도우 10의 기본 설정은 아래와 같이 파일 확장자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원하는 방식으로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 때 파일 확장자를 표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하는 방법 내컴퓨터 또는 윈도우키+E를 통해서 파일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파일탐색기가 실행되면 상단에 위치한 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우측에 있는 표시/숨기기칸에 있는 파일 확장명을 체크해줍니다. 파일 확장명을 체크하게 되면 아까와 달리 test.txt 라는 텍스트 파일과 test2.docx라는 워드 파일의 확장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확장자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F2나 클릭하여 확장자를..
목차 활동기록 개요 윈도우 활동기록 삭제하는 방법 추가기능 윈도우 10 활동기록 개요 윈도우 10에서는 사용자의 기록을 저장해서 타임라인으로 제공하면서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본인의 기록을 확인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윈도우에서 해당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자주 쓰는 기능 등을 최적화하여, 보다 편리하고 빠른 컴퓨팅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같은 윈도우 계정을 사용하는 모바일 및 다른 PC계정에서 연동되어 즐겨찾기나 전 PC에서 사용하던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등 맞춤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기술은 장점만 있는게 아니겠죠? 타임라인 활동기록은 아래와 같은 단점이 존재합니다. 사용자의 검색기록 등..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