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adguard home 설치하는 방법

오늘은 ubuntu에서 adguard home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홈의 가이드를 따라서 설치하면 되는데요.

 

GitHub - AdguardTeam/AdGuardHome: Network-wide ads & trackers blocking DNS server

 

GitHub - AdguardTeam/AdGuardHome: Network-wide ads & trackers blocking DNS server

Network-wide ads & trackers blocking DNS server. Contribute to AdguardTeam/AdGuardHom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wget --no-verbose -O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dguardTeam/AdGuardHome/master/scripts/install.sh | sh -s -- -v

 

삭제는 아래 코드로 하시면 됩니다.

wget --no-verbose -O - https://raw.githubusercontent.com/AdguardTeam/AdGuardHome/master/scripts/install.sh | sh -s -- -u

 

 

수동으로 포트 번호 잡으려면 아래와 같은 형태로 가능합니다.

sudo docker run -d \
--name=adguardhome \
-v /data/adguardhome/work:/opt/adguardhome/work \
-v /data/adguardhome/conf:/opt/adguardhome/conf \
-p 53:53/tcp \
-p 53:53/udp \
-p 67:67/udp \
-p 9393:9393/tcp \
-p 853:853/tcp \
-p 3000:3000/tcp \
--restart=unless-stopped \
adguard/adguardhome

 

명령어 치면 좌좌작 흘러가면서 설치 완료됬다고 뜹니다.

 

방화벽 때문에 접속 안될 수 있으니 콘솔에서 iptable 처리해줍니다.

 

이후 ip:3000번으로 접속이 가능한데요.

sudo iptables -F && sudo iptables -X && sudo netfilter-persistent save && sudo netfilter-persistent reload

 

설치시 53번 사용중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포트 확인

 sudo lsof -i -P -n | grep LISTEN | grep :53

sudo systemctl disable systemd-resolved.service 
sudo service systemd-resolved stop

위 명령어로 포트 확인하고 systemd-resolve를 종료합니다.

그러면 에러가 사라집니다.

 

웹포트는 원하는포트로 변경해주시고 DNS는 53으로 잡으시면 됩니다.

아이디 패스워드를 넣어줍니다

.

그리고 설정이 완료되면 메인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Adguard home을 설치했습니다.

 

 

받아놓은 인증서로  설정 - 암호화 설정을 해줍니다.

아래는 인증서 주소를 넣어주면 됩니다.

 

인증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tars.tistory.com/55

 

[AdGuard Home] Let's encrypt SSL 인증서 설정

기존 certbot 제거 apt-get remove certbot snap 설치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snapd You will also need to reboot your device. This can be accomplished from the terminal (and from the desktop), but make sure you save any open documents first

blog.razor1911.xyz

 

 

sudo certbot certonly \
  --agree-tos \
  --email someone@example.com \
  --manual \
  --preferred-challenges=dns \
  --preferred-chain="ISRG Root X1" \
  -d *.example.com \
  --server https://acme-v02.api.letsencrypt.org/directory
--certonly: ssl 인증서 발급 옵션
--agree-tos: Let's Encrypt 서비스약관 동의
--email: ssl 인증서를 연결할 이메일 주소. 만료될 때 여기로 알림이 옴. (이메일별로 발급 가능한 횟수에 제한이 있음)
--manual: 대화형 설치
--preferred-challenges: ssl 검증에 사용할 도메인 이름 확인 방법 = dns
--preferred-chain="ISRG Root X1" : 2021년 9월자로 DST Root CA X3 인증서가 만료됨에 따라 체인 끝 지점을 ISRG Root X1 으로 명시해줘야 함. 만약 그렇지 않으면 DNS over TLS 가 동작하지 않음. 
관련 설명: https://ikarus.sg/lets-encrypt-dot-android/
--d: ssl 인증서 발급 대상 도메인. 가급적 와일드카드 도메인으로 한다. *.example.com
--server: ssl 인증서 발급 API 지정

 

 

 

||talk-pilsner.kakao.com^
||play.kakao.com^
||shorformstats.kakao.com^

 

인증서 자동 갱신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tars.tistory.com/entry/Adguard-Home-%EC%9D%B8%EC%A6%9D%EC%84%9C-%EC%9E%90%EB%8F%99-%EA%B0%B1%EC%8B%A0

 

[Adguard Home] 인증서 자동 갱신

Let's Encrypt 하위 폴더에 보면 아래와 같이 pre, post 폴더가 있다. /etc/letsencrypt/renewal-hooks/pre /etc/letsencrypt/renewal-hooks/post 해당 폴더에 쉘 스크립트를 넣어두면 인증서 갱신 전 후에 자동으로 스크립

blog.razor1911.xyz

 

그리고 꼭  ssl을 엄격으로 해야지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IT Tr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Docker NPM 설치하기  (0) 2025.10.01
웰컴금융그룹 랜섬웨어 해킹 발생  (2) 2025.08.19
Chatgpt 비밀 시크릿 코드 공개  (1) 2025.07.10
aws ec2 서버 종료하기  (0) 2025.07.07
n8n 셀프 호스팅 하기  (0) 2025.07.05